[FOMC 폴] 끈덕진 인플레이션에도 11월 25bp 인하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끈덕진 인플레이션에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가 오는 6일(현지시간)부터 이틀 일정으로 개최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할 전망이다.
오는 5일(현지시간) 치러지는 미국 대선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가운데 누가 승리하냐에 따라 향후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도 변할 수 있다고 우려되기 때문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출처:연합뉴스 자료사진
5일 연합인포맥스가 미국의 11월 FOMC 통화 정책회의 관련 국내 14개 기관의 전망치를 종합한 결과(화면번호 8852)에 따르면 모든 기관이 4.50~4.75%로 기준금리가 25bp 낮아질 것으로 추정했다.
연준은 지난 9월 FOMC 정례회의에서 '빅컷'(50bp 인하)을 단행해 기준금리 상단을 기존 5.5%에서 5.0%로 내린 바 있다. 연준은 당시 점도표(기준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도표)를 통해 연말 기준금리 전망치(중간값)를 종전 5.1%에서 4.4%로 낮추고 연말까지 적어도 50bp 추가 금리 인하를 시사했다.
금리인하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시장에서는 향후 경기 전망 및 인하 속도에 대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어떤 언급을 하는지를 주시할 것으로 보인다. 예상보다 크게 부진하게 나온 10월 비농업부문 고용에 대해 어떤 설명을 내놓을지에도 관심이 쏠릴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노동부는 미국의 10월 비농업 신규 고용이 전달보다 1만2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고 지난 1일 발표했다. 약 4년 만에 가장 적게 증가하는 '고용 쇼크'를 기록했다.
시장의 기대치인 11만3천명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허리케인과 보잉의 감원에 따른 것으로 노동부는 분석했지만, 고용 응답률이 평소 수준보다 크게 낮은 부분은 향후 수정 가능성을 시사한다. 실업률은 4.1%로 9월과 같았다.
미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에서는 내수가 탄탄하다는 점이 확인됐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30일(현지 시각) 3분기 GDP가 속보치 기준 전 분기 대비 연율로 2.8% 성장했다고 발표했다. 시장의 기대치인 3.1%를 밑돌았지만, 여전히 미국의 경제가 강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연준이 기준으로 삼는 물가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9월 들어 전달에 비해 오름세가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